티스토리 뷰

반응형

티머니 태그리스(Tagless) 서비스는 대중교통을 더욱 편하고 혁신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입된 비접촉 결제 시스템입니다. 사용자가 교통카드를 직접 단말기나 개찰구에 태그하지 않아도 휴대폰만 소지하면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됩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처럼 양손에 짐이 많거나, 아이와 동행할 때, 또는 교통약자들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2025년 기준, 서울 경전철, 인천지하철, 일부 경기도 버스와 지하철에서 확산 중입니다. 

 

 

1. 태그리스란?

  • 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기반의 비접촉 간편 결제 시스템입니다.
  • 스마트폰이 ‘모바일티머니’ 앱을 통해 단말기와 자동 통신하며, 문 앞을 ‘지나가기만’ 해도 결제가 완료됩니다.
  • 기존 NFC 교통카드는 지갑이나 주머니 안에 있으면 인식이 잘 안 되는 경우가 있으나, 태그리스는 신호 범위가 수 미터에 달해 상당히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2. 준비사항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만 정식 지원(아이폰은 별도 BLE 스티커 부착 필요 혹은 서비스 제한)
  • 모바일티머니 앱 설치: 구글플레이스토어 등에서 ‘모바일티머니’ 앱 다운로드
    모바일티머니 앱 바로가기

3. 가입 및 결제수단 등록

  1. 앱 실행 후 회원가입 및 로그인(네이버, 카카오 등 간편가입 지원)
  2. 교통카드 메뉴에서 교통카드 추가 선택
  3. 결제 수단 충전형/후불형 중 선택(신용카드, 휴대폰 소액결제 등)
  4. 주교통카드로 반드시 지정(태그리스는 하나의 교통카드만 가능)

4. 태그리스 결제 활성화 절차

  1. 앱에서 교통카드 우측 상단 점 세 개(⋮) 클릭
  2. 결제 방법 변경에서 태그리스 결제 선택
  3. ‘태그리스 결제 ON’으로 변경
  4. 스마트폰의 블루투스(BLE) 기능, 위치 접근권한 모두 ‘항상 허용’으로 활성화
  5. 배터리 최적화(절전모드) 해제 권장(백그라운드 종료 시 자동 결제 불가)

5. 실제 이용 방법

  • 지원되는 교통수단에서(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인천지하철, 일부 경기도 버스/지하철, 서울 시내버스 일부) 자동 개찰구 앞을 통과하면 별도 태그 없이 결제 완료
  • 교통카드 잔액이 3,000원 이상 필요(충전/후불형 모두 가능)
  • 환승할인 등 기존 티머니 혜택 동일 적용
  • 일부 교통수단 미지원 구간에서는 기존 NFC 방식과 병행 사용 가능

6. 자주 묻는 질문

  • Q. 아이폰에서 사용 가능한가요?
    A. 공식 앱에서 미지원이므로 별도 BLE 태그리스 도구(스티커)가 필요하거나, 지원이 제한적입니다.
  • Q. 블루투스를 끄면 결제 안 되나요?
    A. 예, 결제 시 BLE(블루투스)와 위치 접근 권한이 모두 ‘항상 켬’이어야 합니다.
  • Q. 환불 또는 정산은 어떻게 하나요?
    A. 티머니 고객센터, 앱 내 Q&A 이용.

7. 알아두면 좋은 팁

  • 분실/도난 시 해당 카드 사용 중지 신청 필수
  • 안심정산·소득공제·잔액이관 등 티머니 교통카드 서비스 동일 적용

8. 근거리/원거리 동시 지원

  • 하나의 개찰구에서 NFC, 태그리스(BLE) 결제가 동시 가능
    동일한 교통카드라도 앱 설정만 다르면 둘 다 사용OK

 

반응형